매년 5월이면 어김없이 돌아오는 종합소득세 신고.
특히 처음 신고하는 분들은 홈택스 화면만 봐도 막막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오늘은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도록 홈택스를 통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을 아주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준비물
신고를 시작하기 전, 미리 준비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 본인 인증 수단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가능)
- 소득 자료 (원천징수영수증, 수입내역 등)
- 지출 및 공제 증빙자료 (연금저축 납입증명서,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영수증 등)
- 환급받을 본인 명의 계좌번호
※ 증빙서류는 신고 후 5년간 보관해야 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접속하기
- 홈택스 사이트 접속 (www.hometax.go.kr)
- 로그인 - 공동인증서, 간편 인증, 금융인증서 중 선택
📝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 [신고/납부] 메뉴 클릭
- [종합소득세] 신고하기 선택
- 신고 유형 선택 - 기본 제공된 자료를 이용하는 ‘간편신고’ - 직접 입력하는 ‘일반신고’
- 소득 종류 및 금액 입력 -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 등을 선택 후 입력
- 필요경비 및 공제 항목 입력 - 연금저축,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공제 반영
- 납부세액 확인 - 환급 예상 여부 및 납부 금액 자동 계산
- 신고서 제출 - 전자서명 후 신고 완료
※ 신고 완료 후 접수증은 꼭 저장하거나 출력해두세요.
🧾 신고 후 해야 할 것들
- 지방소득세 별도 신고 - 홈택스 신고 완료 후, '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버튼을 눌러 위택스(wetax.go.kr)에서 추가 신고
- 환급 예정자라면 - 환급 계좌정보 다시 한번 확인
🚨 홈택스 신고 시 실수하기 쉬운 부분
- 소득 누락: 수입이 적더라도 누락 없이 모두 입력
- 공제 빠뜨림: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누락 주의
- 지방소득세 깜빡: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만으로 끝이 아님!
💬 홈택스 vs 손택스, 뭐가 다를까?
모바일 앱인 손택스(Sontax)를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단, 복잡한 사업소득 신고는 PC 홈택스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리합니다.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 초보자를 위한 종합소득세 실전 가이드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