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월은 세금 신고의 달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완료했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
지방소득세 신고도 별도로 해야 완전한 세금 신고가 완료됩니다.
오늘은 초보자도 알기 쉽게 2025년 지방소득세 신고 방법과 위택스, 홈택스의 차이점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지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지방소득세는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거주지 관할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종합소득세는 국가 세금이고, 지방소득세는 지역사회 운영을 위해 별도로 걷는 세금이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 2025년 지방소득세 신고 대상자는?
-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프리랜서, 자영업자, 부업 소득자 등)
- 퇴직소득, 양도소득이 발생한 경우 일부 대상자
👉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사람은 의무적으로 지방소득세도 신고해야 합니다!
📋 2025 지방소득세 신고 방법 총정리
1.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
먼저 국세청 홈택스(홈택스 바로가기)에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끝냅니다.
2. '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버튼 클릭
종합소득세 신고 마지막 화면에서 '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버튼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3. 위택스(Wetax)로 이동
버튼을 누르면 위택스 사이트로 자동 연결됩니다.
4. 소득 및 세액 정보 확인
홈택스에 입력했던 소득 및 세액 정보가 자동으로 넘어오므로, 간단히 확인 후 수정이 필요하면 수정하고, 없으면 바로 진행합니다.
5. 신고서 제출 및 납부 완료
납부할 금액을 확인한 후, 전자납부(계좌이체/신용카드) 또는 은행 방문납부를 선택해 납부합니다.
🧩 위택스와 홈택스 차이점 정리
구분 | 홈택스 | 위택스 |
---|---|---|
주요 기능 | 국세(종합소득세, 부가가치세 등) 신고 | 지방세(지방소득세, 자동차세 등) 신고 |
운영 주체 | 국세청 | 행정안전부, 각 지방자치단체 |
지방소득세 신고 | ❌ (이동만 가능) | ⭕ (직접 신고) |
사이트 주소 | 홈택스 | 위택스 |
👉 요약: 종합소득세는 홈택스, 지방소득세는 위택스에서 신고!
🗓️ 2025 지방소득세 신고·납부 기한
-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납부 기한: 2025년 5월 31일까지
※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5월 안에 끝내야 합니다.
💡 지방소득세 신고시 주의사항
- 자동 이관된 소득·세액 정보 정확히 확인
- 환급 대상 여부 체크 (대부분 지방소득세는 환급 없음)
- 납부 후 영수증 저장 또는 출력
간혹 자동 이관된 정보가 틀린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최종 확인이 필요합니다.
🔗 지방소득세 위택스 신고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