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5월에 종합소득세를 열심히 신고했는데, 지방소득세 신고를 깜빡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습니다.
하지만 지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생각보다 큰 불이익이 따릅니다.
오늘은 지방소득세 미신고 시 발생하는 가산세와 불이익을 한 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지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지방소득세는 종합소득세를 기준으로 지방자치단체(시·군·구)에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후, 위택스(wetax.go.kr)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별도로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 지방소득세는 국가 세금이 아닌, 지역 세금입니다.
🚨 지방소득세 신고·납부를 안 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을까?
1. 신고불성실 가산세 부과
지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신고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 산출세액의 최대 20% 추가 부과
예를 들어 지방소득세가 50만 원인데 신고를 하지 않으면, 최대 10만 원(20%)의 추가 세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납부불성실 가산세 부과
납부 기한을 넘기면 납부불성실 가산세도 따로 부과됩니다.
- 하루당 0.022%씩 부과
즉, 미납한 금액에 대해 지연된 일수만큼 계속해서 가산세가 쌓입니다.
3. 체납 시 강제징수 조치
장기 체납이 되면 지방자치단체는 다음과 같은 강제징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예금 압류
- 부동산, 차량 압류
- 사업장 재산 강제 집행
한 번 압류가 시작되면 복잡한 절차와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신용정보 등록 및 금융 불이익
체납 정보는 신용정보원에 통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권 대출, 카드 발급, 보증 심사 등에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소액이라도 체납은 절대 가볍게 넘어가면 안 됩니다!
📝 지방소득세 신고·납부 방법 다시 확인
-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완료
- 지방소득세 신고 이동 클릭 → 위택스 자동 접속
- 소득·세액 정보 확인 후 신고
- 납부 완료 (계좌이체/카드/은행 방문 등)
※ 반드시 5월 31일까지 신고와 납부를 함께 완료해야 합니다.
📅 지방소득세 신고 기간
-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5월 말일이 지나기 전에 신고를 마쳐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지방소득세 납부 방법 간단 정리
- 위택스 전자납부 (가장 간편)
- 은행 방문 납부 (납부서 출력 후 제출)
- 모바일 위택스 앱으로 납부
요즘은 스마트폰으로 5분이면 납부할 수 있어 시간이 없다는 핑계는 통하지 않습니다!
🔗 지방소득세 위택스 신고 바로가기
반응형